티스토리 뷰

반응형

임신검진 동행휴가 신청 총정리

💼 국가공무원의 임신검진 동행휴가 총정리

2025년 7월 22일부로 ‘임신검진 동행휴가’가 공식 도입되었습니다. 여성 공무원뿐만 아니라 배우자의 임신검진에 동행하는 남성 공무원도 휴가 신청이 가능해졌습니다. 아래 글에서는 신청 조건휴가 사용 가능 기간 등을 중심으로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 도입 배경과 법적 근거

인사혁신처는 공직 사회 내 가족 친화 근무 환경 조성을 목표로, “배우자 임신검진에 동행할 수 있는 특별휴가”를 포함한 복무규정 개정안을 2025년 국무회의에서 통과시켜 2025년 7월 22일부 시행을 확정했습니다. 이로써 기존 여성 공무원 대상 임신검진휴가 대상 범위가 남성에게도 확대된 것입니다.

✅ 임신검진 동행휴가란?

‘임신검진 동행휴가’는 배우자의 임신 중 산부인과 검진에
동행하기 위해 남성 공무원이 사용할 수 있는 **특별휴가**입니다. 여성 공무원의 기존 '임신검진휴가'와 동일한 수준으로, 하루 또는 **반일 단위**로 사용 가능합니다 

📅 사용 기간 및 조건

  • 총 **10일 이내 사용 가능** (하루 또는 반일 단위) 
  • 휴가는 **임신 기간 내에만 사용 가능**하며, 연달아 사용할 필요는 없고 상황별로 신청 가능
  • 여성 공무원의 경우 **임신 12주 이내** 혹은 **32주 이후**에 신청 시, 복무권자의 승인을 **의무화**하여 모성보호를 강화했습니다 

🧾 신청 절차 및 구비 서류

남성 공무원이 ‘동행휴가’를 신청하려면 다음 서류 제출이 필요합니다 

 

구비서류 준비

  • 가족관계증명서 (본인과 임산부 간 관계 증빙)
  • 임신확인서 (의료기관 발급)
  • 각 검진 시점별 진료내역서 (검진 사실을 증빙)

이후 소속 기관 복무 담당 부서에 신청서를 제출하여 **승인을 받은 후에 사용** 가능합니다.

https://www.mpm.go.kr/mpm/comm/newsPress/newsPressRelease/?mode=view&cntId=4090

 

인사혁신처

인사혁신처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www.mpm.go.kr

 

🗓 적용 시점 및 유예 규정

– **2025년 7월 22일(화)**부터 시행됨

– 기존 제도와 병행되며, **재직 기간·연차와 별도 적용**됩니다.

📌 장기재직휴가와 차이점

이번 개정으로 **장기재직휴가 제도**도 동시에 신설되었는데요,

  • 재직기간 **10년 이상 ~ 20년 미만**: **5일 유급휴가**, 해당 재직 기간 내 사용 가능하며 **미사용 시 자동 소멸** 
  • 재직기간 **20년 이상**: **7일 유급휴가**, **퇴직 전까지 사용 가능함
  • 특히 재직 **18년 이상 20년 미만인 경우**, 시행일 기준 향후 **2027년 7월 22일까지 예외 사용 기간**이 주어짐

🚨 사용 시 유의사항 요약

  1. **휴가 사용 기한**은 임신 기간 내 10일 이내.
  2. 반일 단위 신청 가능 → 필요 시 부분 일수로 쪼개서 활용
  3. **증빙 자료 필수 제출** (가족관계증명서, 임신 확인서, 진료내역서 등)
  4. **여성 공무원 모성보호시간**은 임신 초기·후기 승인 의무화
  5. 장기재직휴가와는 별도 구분되며, 용처가 다름

📌 블로그 요약 카드

항목 내용
휴가명 임신검진 동행휴가 (남성 공무원 대상)
도입일시 2025년 7월 22일 시행
사용 기간 임신 기간 내 총 10일 이내, 하루 또는 반일
신청 대상 국가·지방 공무원의 남성으로 배우자 임신검진 동행 시
필요 증빙 가족관계증명서, 임신확인서, 진료내역서 등
유의사항 모성 보호시간 승인 의무화, 휴가는 사전 승인 필요

마무리하며

이번 개정은 단순한 휴가 제도 변화 이상으로, **공직사회에서 가족 친화적인 근무 환경을 확대하고자 하는 중요한 제도적 전환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임산부 배우자를 둔 남성 공무원의 경우, 기존에는 연가를 사용해야 했던 부분이 특별한 유급휴가로 보완된 것은 의미가 크죠.

**임신 초·중·후기마다 검진이 필요한 일정이 많아질수록**, 동행자가 휴가를 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은 배우자에게도 큰 심리적 안정이 되리라 기대됩니다. 공무원 가족분들은 이번 제도를 잘 활용해 보시고, 소속 기관 담당자와 증빙 절차도 빠뜨리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출산과 연결된 가장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제도, ‘임신검진 동행휴가’—현명하게 챙겨보세요!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